▲운미난첩_1, 2면_처리 후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국보나 보물로 지정되지 않은 문화재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처음으로 추진한 ‘비지정 문화재 보존처리 및 예방적 관리’ 사업을 통해 (재)간송미술문화재단(이사장 전영우)이 소장하고 있는  ‘한시각(韓時覺, 1621~?) 필 <포대화상(布袋和尙)>’ 등 총 3건 79점의 비지정 문화재를 보존처리하고, 120점의 서화·도자류에 대해서는 훼손을 예방하는 작업을 최근 완료하였다. 

  ‘비지정 문화재 보존처리 및 예방적 관리’ 사업은 (재)간송미술문화재단과 같이 역사적·인문학적 가치가 높은 비지정 문화재를 다량으로 보유한 기관을 대상으로 보존처리 등에 필요한 예산을 연차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그간 문화재청은 지정 문화재 위주로 추진하던 지원사업을 비지정 문화재로까지  확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재)간송미술문화재단에 대한 이번 지원은 그 노력의 첫 번째 수확물이라 할 것이다. 

  (재)간송미술문화재단은 문화재청과 전문가 자문을 거쳐 ‘한시각(韓時覺, 1621~?) 필 <포대화상(布袋和尙)>’, ‘이인상(李麟祥, 1710~1760) 필 <원령희초첩(元靈戱草帖)>’, ‘민영익(閔泳翊, 1860~1914) 필 <운미난첩(芸楣蘭帖)>’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하고 작년 한 해 동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산하 지류·회화수리복원연구소(책임연구원 이상현 교수)가 보존처리를 담당하였다. 

  <포대화상>은 조선 중기의 화가 한시각(韓時覺 1621~?)이 남긴 포대도(布袋圖) 중 현존하는 5건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이자,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작품으로, 1655년(효종 6년) 을미통신사 수행 당시, 일본 측 요청으로 ‘사행록(使行錄)’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소중한 문화재다. 

  

  <원령희초첩>은 시(詩)·서(書)·화(畵)에 능해 ‘삼절(三絶)’이라 불렸던 이인상의 뛰어난 글씨와 사의(寫意)적인 화풍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운미난첩>은 근대 시기 한국화단에 큰 영향을 미친 민영익이 1895년 을미사변 이후 중국 상해에 망명한 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으로, 망명 당시 중국의 서화가들과 교유하며 묵란화(墨蘭畵)를 자기만의 시선으로 해석한 이른바, ‘운미란(芸楣蘭)’ 72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 작품에 대한 보존처리는 인문학적 조사와 과학적 조사·분석결과 등을 종합하여 수립된 보존처리계획에 따라 이루어졌다. 3건 모두 제작 당시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추정되어 본래의 장황을 재사용하였으며, 결손된 부분은 유물의 바탕재와 최대한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여 보존처리하였다. 이번 보존처리로 유물의 오염도가 현저히 줄었으며, 이외에 문화재 각각의 상태와 크기를 고려하여 굵게말이축과 보관상자를 제작하여 보관상의 안정성도 높였다. 

  

  한편, 서화류는 건식처리와 응급처리를 주로 했고 도자류는 손상된 보관상자를 수리, 제작하고, 내부 충진재를 새로 제작한 솜포로 교체하여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는 예방적 조치를 했다.

  문화재청과 (재)간송미술문화재단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조선 후기 서화 수장가였던 김광국(金光國, 1727~1797)의 <석농화원(石農畵苑)> 중 일부로 알려진 <해동명화집(海東名畵集)> 1건 60점과 초간본으로 추정되는 권우(權遇, 1363~1419)의 『매헌집(梅軒集)』 5책 1권에 대한 보존처리와 인문학적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문화재청은 간송(澗松)이 남긴 문화유산을 더욱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해 서울시와 함께 수장고를 건립 중에 있다. 이처럼 문화재청은 지정되지 않은 문화재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그 성과를 국민과 공유하고 국가적 자산, 세계적 유산으로 키워나갈 예정이다. 


SNS 기사보내기
정승혜
저작권자 © ACN아시아콘텐츠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